사업명 | 2017년도 6월 사회공헌교수모임 |
---|---|
사업분류 |
기타
|
기간 | 2017-06-07 ~ 2017-06-07 |
장소 | 학내 |
사업내용 | 1.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 모임 안건 ㅇ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 모임 명단 ㅇ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 모임 참석자 소개 ㅇ 향후 모임 논의 2. 논의 내용 ◦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 모임을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협의회로 설립하는 안에 전체적으로 동의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 협의회 설립] ◦ 서울대 사회공헌 교수협의회 구성 필요 (정대홍 교수) - 공동회장 선출 : 유영제 교수, 안규리 교수 - 총무 선출 : 윤제용 교수 ◦ 독립성 있는 모임으로 발전 중요 (김웅한 교수) ◦ 단과대학과 본부 프로그램과의 유기적인 협업 시스템 구축 필요 (김호 교수) [협의회 사회공헌 활동 내용과 방향] ◦ 사회공헌 교수 협의회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유영제 교수, 윤순진 교수) ① 사회공헌 경험·생각 등을 공유하는 심포지움·집담회 등 개최 ② 본부 글로벌 사회공헌단과 사회공헌 교수 협의회와 연계 및 협의 ※ 기관 차원과 어떤 관계를 맺고 나아가야하는지 논의 필요 ③ 각 단과대학은 물론 개별 교수들의 서울대 사회공헌 활동 내용 등을 정리하고 공유할 필요성이 있음 (윤제용 교수) ◦ ODA의 성공적 모델을 만들기 위해 봉사 차원을 넘은 아카데믹한 ODA 평가 및 분석이 필요(김웅한 교수) ◦ 한동대학교의 모델(자발성↑, 여론, 기록 등)을 벤치마킹할 필요성이 있음. 명예 교수 등 자발적 참여를 높이고, 기록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논의(이재열 교수) ◦ 국내 ODA 프로그램의 분절화 구조를 깨고, 글로벌사회공헌단과의 협의를 통해 발전적으로 나아가길 바람 (김태균 교수) ◦ 본부 글로벌사회공헌단과 같은 기관 차원과 어떤 관계를 맺고 나아가야하는지 논의 필요 ◦ 사회공헌의 정의를 넓게 확장, 국내 취약계층까지 포함하여 진행했으면 함(홍성욱 교수) ◦ 인식과 실천이 중요하므로 학생 복지·생활 주변에서 시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실천 ◦ 홈페이지 제작 혹은 글로벌사회공헌단에서 사회공헌 활동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 (박진우 교수) ◦ 실천적 자성과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수준 높은 질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함 (한무영 교수) ◦ 본 사회공헌교수 협의회가 서울대 교수들의 사회공헌 활동 참여 확산의 통로가 되기를 바라며 대학에서 사회공헌 활동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람 (이경우 교수) ◦ 교육적인 만남·의미를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이 되기를 바람 ◦ SNS를 활용하여 참여 교수간의 정보와 경험 등을 공유 (안규리 교수) ◦ 활동을 위한 인력·자금 등 고민해보겠음 (안규리 교수) ◦ 함께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통하여 서울대 공공적 이미지 제고 (유영제 교수) ◦ 향후 한 학기 한번 정례 조찬미팅으로 서울대에서 진행된 주요 사회공헌 활동을 소개·공유하는 자리를 가지도록 함 (윤제용 교수) |
해시태그 |
#교수모임
#사회공헌
|
참여교수 |
김도순 (농림생물자원학부)
김범수 (자유전공학부)
김병기 (화학생물공학부)
김웅한 (휴먼시스템의학과)
김태균 (국제학과)
김호 (보건학과)
민기복 (에너지시스템공학부)
민복기 (디자인학부)
박진우 (산업공학과)
박태현 (화학생물공학부)
박형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서혜연 (성악과)
성종상 (환경조경학과)
안경현 (화학생물공학부)
안규리 (의학과)
안상훈 (사회복지학과)
안성훈 (기계공학부)
양현권 (영어교육과)
여명석 (건축학과)
염헌영 (컴퓨터공학부)
유성상 (교육학과)
유영제 (화학생물공학부)
윤순진 (환경계획학과)
윤여창 (농림생물자원학부)
이경우 (응용공학과)
이석하 (농림생물자원학부)
이윤식 (화학생물공학부)
이재열 (사회학과)
임정묵 (농생명공학부)
전상직 (작곡과)
정대홍 (화학교육과)
최경호 (환경보건학과)
한동헌 (치의학과)
한무영 (건설환경공학부)
한재용 (농생명공학부)
홍성욱 (생명과학부)
홍종호 (환경계획학과)
황준석 (응용공학과)
|